Kubernetes 1.34 주요 변경 사항
Kubernetes 1.34는 2025년 8월 27일에 출시되었으며, 총 58개의 기능이 안정화되었고, 여러 알파 및 베타 기능도 포함되어 있습니다.
1.
Dynamic Resource Allocation (DRA) (Stable)
•
GPU, TPU, SmartNIC 등을 resourceClaims으로 Pod spec에서 명시적으로 요청하고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이 정식 안정화
2.
Pod 내 X.509 인증서 - PodCertificateRequests (Stable)
•
kubelet이 Pod에게 mTLS용 인증서를 자동으로 발급·관리
3.
EnvFiles 지원 (Stable)
•
init 컨테이너가 파일로 환경변수를 생성하고, 후속 컨테이너가 해당 파일을 활용하는 기능이 안정화
4.
Projected ServiceAccount 토큰 for kubelet image pulls (Beta)
•
kubelet이 컨테이너 레지스트리에 접근할 때, 롱 리빙 시크릿 대신 단기 유효 SA 토큰을 사용하도록 변경되어 보안성과 관리를 강화
5.
HPA Tolerance 조정 (Beta)
•
HPA의 spec.behavior에 tolerance 필드를 추가해 scale-up/down 민감도를 개별적으로 조정
6.
KYAML (Alpha)
•
kube-admin과 같은 툴에서 사용할 수 있는, 공백/타입 추론 문제를 줄인 Kubernetes 전용 YAML 서브셋 언어(-o kyaml)가 도입
7.
Container Restart Policy 세분화 (Alpha)
•
각 컨테이너마다 restartPolicy를 정의하고, 종료 코드 기반 조건부 재시작 규칙을 지정
8.
Device Resource Health Status (Alpha)
•
DRA를 사용한 장치에 대해, PodStatus의 allocatedResourceStatus 필드로 장치 상태(Healthy / Unhealthy / Unknown)를 알 수 있음
9.
기타 알파 및 베타 기능
•
DRA 구조적 파라미터 확장
•
Pod 위치 지정(.status.nominatedNodeName 활용)
•
Job 컨트롤러의 교체 Pod 생성 시점 조정
•
PVC 확장 오류 - 복구 메커니즘 향상